29CM
  • BEST
  • WOMEN
  • MEN
  • INTERIOR
  • KITCHEN
  • ELECTRONICS
  • DIGITAL
  • BEAUTY
  • FOOD
  • LEISURE
  • KIDS
  • CULTURE
  • Event
  • Lookbook
  • 가구,인테리어
    • 책,음반
      • 매거진
        brand-image

        보스토크 프레스

        보스토크 프레스는 사진과 디자인, 현대미술, 문학 등을 다룹니다. 격월간 사진 잡지 <보스토크>를 비롯하여 다양한 단행본과 사진책을 선보입니다.

        보스토크 프레스

        VOSTOK 37 - Your Selfie





        구매 적립금

        최대 170 마일리지 적립 예정

        무이자 할부

        • 배송정보
          판매자가 설정한 정보로, 업체 및 상품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말,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평일) 기준입니다.

        • 배송비

          2,500원

          20,000원 이상 구매시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1,000원 추가

        상품 설명

        VOSTOK 37 - Your Selfie

        VOSTOK 37 - Your Selfie

        2023. 1–2월호 | VOL. 37
        특집 |유어 셀피 Your Selfie

        012 New Theatre of Gender _ Yushi Li
        024 젤리그 _ 김보은
        032 Familie Werden _ Rie Yamada
        044 Votive Figure _ Marta Zgierska
        056 Selfobservations _ Franziska Ostermann
        066 Self/Portrait _ Teresa Eng
        076 Hedda _ Fin Serck-Hanssen
        088 셀피, ( ) _ 김인정
        098 넘나드는 사람들 _ 황예지
        106 사라지려는 이들의 낙원 _ 최원호
        114 Selves-Portrait _ 이슬아
        120 더 나은 나: 셀피와 인터넷 _ 지아 톨렌티노 대담
        130 HELLO My name is _ Nadia Lee Cohen
        142 A Man in Public Space _ Karla Hiraldo Voleau
        152 I’m Everywhere _ Silin Liu
        162 Beyond the Shadows _ Elsa & Johanna
        176 Unprofessional _ Matilde Søes Rasmussen
        188 Do you know who I am _ Jessica Wolfelsperger
        198 Inner Journey _ Marvel Harris

        210 [영화의 장소들] 페어리랜드의 황혼 _ 유운성
        216 [일시 정지] 두려운 얼굴들: 사진의 윤리적 모험의 종결 _ 서동진
        224 [에디터스 레터] 침묵의 뿌리
        다시 또 새롭게 ‘당신의 셀피’를
        바라봐야 하는 이유

        이번호에서는 셀프 포트레이트부터 셀피까지 동시대에 공존하는 자아의 이미지들 그리고 스스로 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 관해서 다룹니다. 그 안에서 나와 싸우고 또 나와 화해하며, 나를 미워하고 또 나를 아끼며, 나를 견디지 못하고 또 나를 껴안으며, 그렇게 나를 향해 민감하고 섬세하게 반응하는 작업자들이 만든 다채로운 ‘나의 이미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주는 이미지와 시각 환경을 냉철하게 탐색하는 사진 작업을 함께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내가 나를 바라보고, 내가 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의 의미를 고찰하는 비평과 에세이, 인터뷰도 더했습니다. 이렇게 모인 사진과 글을 함께 바라보고 읽어가는 이번 여정에서 꼭 잊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 있습니다. 셀피뿐만 아니라 모든 이미지가 흔하고 넘치는 시절이지만, 여전히 ‘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가지는 일이 절실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

        내가 나를 바라보고
        내가 ‘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

        이제 셀피를 찍는 것은 매우 흔하고도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습니다.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또 무언가를 의도하지 않고도 셀피를 찍습니다. 수많은 셀피가 온라인과 SNS에 넘쳐나고, 그보다 훨씬 많은 셀피들이 스마트폰의 사진첩에 겹겹이 쌓여갑니다. 셀피는 마치 오래된 습관이나 고치지 못하는 버릇처럼 또는 중독에 가까운 행동처럼 이미 우리의 몸과 마음에 스며 있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손에 쥔 사람들은 ‘나를 찍습니다, 고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셀피 이전의 셀프 포트레이트는, 더 정확히 말해 예술 사진의 장르로서 셀프 포트레이트는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행위가 연속되고 결합되어 완성됩니다. 나에 관해서 생각하고, 이를 이미지와 연결합니다. 그 이미지와 맞게 옷을 고르거나 화장을 하고, 방을 꾸미거나 다른 장소를 찾아가기도 합니다. 그곳에서 카메라를 설치하고 렌즈 앞에 나를 세웁니다. 내가 자각하는 나와 남들이 인식하는 나, 현실 속의 나와 이상 속의 나, 드러내고 싶은 나와 감추고 싶은 나 등 다양한 관계와 변수 사이에서 나는 나를 연기합니다. 셔터 릴리즈를 누르는 순간, 바라보는 나와 보여지는 나 사이에서 카메라를 향해 웃어야 할지, 아니면 울어야 할지 고민합니다. 그렇게 카메라 앞과 뒤를 넘나들며 마치 유체이탈을 하듯이 내가 주체와 객체로 분열되는 과정을 통과하고 나면, 과연 ‘진정한 나’를 만날 수 있을까요?

        이처럼 외부(세상)로 향해 있는 카메라를 내부(나)로 돌리고, 그 렌즈 앞에 나를 세워야 하는 셀프 포트레이트 다분히 의식적인 시도이자 의도적인 결과물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 복잡다단했던 의식과 의도는 셀피로 간편하게 대체됩니다. 이전과 달리 전면과 후면 양쪽을 모두 바라보는 렌즈를 동시에 장착한 스마트폰은 카메라 앞뒤를 넘나드는 과정을 축약하고, 다양한 필터는 물리적인 가공이 없이도 터치 한 번으로 원하는 미장센을 제공해줍니다. 무엇보다 온라인과 SNS에 게재되기 위해 촬영되고 선택된 셀피 이미지는 가상 공간에서 나의 정체성으로 전시되고 기능한다. 때로 사람들은 가상현실에 올릴 셀피를 위해 실제현실에서의 삶을 꾸미고 바꾸거나, 심지어 애니메이션 캐릭터처럼 비현실적인 얼굴로 성형까지 합니다.

        점점 가상과 현실을 경계 짓는 일이, 이미지 속의 나와 실제의 나를 구분하는 일이 무의미해지고 때로 경계와 구분이 사라져 서로 역전되거나 호환되는 시대에서 ‘진정한 나’를 찾는 물음 또한 이전보다 불투명해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뼈와 살을 지닌 인간의 얼굴은 온라인에 전송될 수 없기에, 그 대신 셀피를 찍어 나에 관한 시각적 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시간이 갈수록 셀피는 너무 흔한 이미지처럼, 셀프 포트레이트는
        조금 진부한 이미지처럼 되고 말 것입니다. 하지만 셀프 포트레이트부터 셀피까지 이어지는 흐름에는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자아를 바라보는 시선과 생각이 깃들어 있고,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 환경이 변화하는 양상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이를 들여다보는 과정은 자아와 이미지 환경을 향한 지금 우리의 사유와 고민을 읽을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입니다.

        이번호에서는 셀프 포트레이트부터 셀피까지 동시대에 공존하는 자아의 이미지들 그리고 스스로 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 관해서 다룹니다. 그 안에서 나와 싸우고 또 나와 화해하며, 나를 미워하고 또 나를 아끼며, 나를 견디지 못하고 또 나를 껴안으며, 그렇게 나를 향해 민감하고 섬세하게 반응하는 작업자들이 만든 다채로운 ‘나의 이미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막대한 영향을 주는 이미지와 시각 환경을 냉철하게 탐색하는 사진 작업을 함께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내가 나를 바라보고, 내가 나의 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의 의미를 고찰하는 비평과 에세이, 인터뷰도 더했습니다. 이렇게 모인 사진과 글을 함께 바라보고 읽어가는 이번 여정에서 꼭 잊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 있습니다. 셀피뿐만 아니라 모든 이미지가 흔하고 넘치는 시절이지만, 여전히 ‘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가지는 일이 절실한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

        사회적 규범이나 종교적 신념, 정상성 개념 등의 잣대로 존재 자체를 부정당하는 소수자들은 여전히 자신의 원하는 ‘나의 이미지’를 쉽게 가질 수 없습니다. 그들은 셀피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선언하고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외부의 힘에 저항합니다. 그들의 이미지는 그동안 제대로 기록/기억되지 않았던 수많은 존재들을 호명합니다. 그리고 어떤 존재들을 지우며 그려진 이 세계의 현재를 직시하게 합니다. 다시 또 새롭게 ‘당신의 셀피’를 바라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받는 분이 29CM 회원이 아니어도

        선물을 받을 수 있으니 안심하세요